"집 안 팔려" 오염 지역서 죽어가는데…이주대책이 없다 | |
![]() |

국가기반시설 등 오염에 정부도 책임 있는데주민들 이주 요구에도, 대책은 제자리걸음"예산 한계" 지자체 호소에도 중앙정부는 뒷짐◆국가가 버린 주민들<2부> 방치된 시스템 ⑦이주대책은 언제 편집자주어느 곳에 사느냐는 권력의 척도가 됐다.
소각로·공장·매립장이 들어서며 병에 걸리고 목숨을 잃었다는 사람들. 암으로 수십 명이 사망한 곳도 있다.
그런데, 목숨에도 등급이 매겨진 걸까. 정부는, 사회는 조용하다.
서울 한복판이라면 어땠을까. 지난 10년 주민들이 '인근 시설로 환경이 오염돼 질병에 걸렸다'며 환경부에 건강영향조사를 청원한 곳은 8곳에 이른다.
대책 없이 방치된 이들의 삶을 들여다봤다.
"못 살겠으니, 제발 이주계획을 세우거나 환경 개선이라도 해 달라"는 강원 동해시 송정동 주민들의 청원은 2018년 국민권익위원회을 시작으로, 2019년 환경부·해양수산부·동해지방해양수산청을 빙빙 돌았다.
면피성 답변만 받는 동안 주민들의 좌절은 깊어졌다.
시멘트, 석회석, 아연ㆍ망...
* 출처: 한국일보
0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