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류열풍소식

"오징어게임, K컨텐츠 폭풍의 최근사례..'韓의 침공' 현실로"
한류멋쟁이
| IP 110.♧.♧.52 | 조회 688 | 2021-10-16 15:35:26

"오징어게임, K컨텐츠 폭풍의 최근사례..'韓의 침공' 현실로"

 

이데일리 2021. 10. 16.

 

수미 테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구원 기고문

"유례없는 성공 거둔 韓 컨텐츠, 소프트파워 강국으로"

"경제성장·국제영향력 확대와 韓정부 노력 맞물린 결과"

"확대된 소프트파워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더 큰 과제"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인 `오징어 게임`을 비롯한 한국 문화 콘텐츠들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한국 정부가 장기간 공을 들였던 `한국의 문화 침공(The Korean Invasion)`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의 문화 침공`이라는 표현은 지난 1960년대 비틀스(Beatles)를 필두로 한 영국 가수들이 팝의 본고장을 자처하던 미국에 진출해 전 세계 팝 역사의 흐름을 바꿔 놓았던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을 차용한 것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싱크탱크 중 하나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수미 테리 선임 연구원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외교 전문지인 ‘포린 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 90여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을 거론하며 “이는 한국에서 생산된 문화 컨텐츠들이 전 세계에 폭풍우처럼 몰아치고 있는 하나의 최근 사례일 뿐”이라고 밝혔다.

 

한국계 미국인인 테리 연구원은 미 중앙정보국(CIA)에서 한국을 분석하던 전문가 출신이다.

 

그러면서 그는 K팝을 대표하는 방탄소년단(BTS)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을 휩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등 이른바 ‘한류’로 불리는 한국 컨텐츠가 유례가 없을 정도로 글로벌 성공을 누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테리 연구원은 “과거 역사적으로 자국 문화를 해외로 전파하는 것보다는 중국과 일본의 문화적 지배를 막는데 더 신경을 썼던 한국이, 이젠 세계적인 소프트파워(soft power) 강국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를 두고 한국의 문화침공으로 불렀다.

 

테리 연구원은 이런 한국의 문화 침공이 실현된 이유에 대해서는 김대중 정부를 위시한 한국 정부가 오랫동안 공들인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오늘날 전 세계 수백만명이 한국 문화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데도 그것이 어떻게 이처럼 큰 성공을 거뒀는 지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면서 “한 나라의 문화적 성장은 단순히 소수의 영감을 가진 창작자들에 의한 것이 아니라 경제 성장과 더 큰 세계적 영향력의 형태로 특정한 창조산업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장기간 노력해 온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은 점점 보편화하는 대중문화와 함께 민주주의의 이상을 확산시키면서 현대 국제 정치에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기회를 갖고 있다”고도 했다.

 

다만 그는 “한국은 이처럼 소프트 파워를 성장시키는 탁월한 일을 해냈지만, 앞으로 외교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 힘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0
작성자 서명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자비가 부족하고,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김구)
▼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109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109 영국 기자가 밝힌 한국이 두려운 진짜 이유, 뭐든 국산화하는 비상한 능력이 알려지자 세계가 발칵 뒤집어졌다는데
한류멋쟁이
18 25-03-27
108 러시아의 마지막 탈출구! 러시아가 미국 손잡고 한국부터 찾는 이유
한류멋쟁이
19 25-03-09
107 "아이유가 이정도였다고?" 아이유와 같은 날로 콘서트 잡은 스위프트 베를린 국민들 아이유 콘서트에 몰리자 당황 l 해외반응 한류
한류멋쟁이
31 24-06-27
106 "싱가포르 전역이 뒤집혔다" 아이유 국가전체 신드롬 현상
한류멋쟁이
40 24-05-04
105 한국이 열광한 '영국남자'처럼…베트남은 지금 '한국남자'에 빠졌다
한류멋쟁이
31 24-04-25
104 한강의 기적 이제 시작일 뿐이다 미국 명문대 교수가 분석한 2022년 이후 대한민국 모습
한류멋쟁이
836 22-07-29
103 왜 여성은 세대 관계없이 「한류」를 계속 보는 걸까?
한류멋쟁이
1032 22-05-20
"오징어게임, K컨텐츠 폭풍의 최근사례..'韓의 침공' 현실로"
한류멋쟁이
687 21-10-16
101 특집: 한류와 아시아(1) 한류 20년, 성과와 미래 전략
한류멋쟁이
882 21-07-30
100 중국반응│조선구마사로 잠시 신났던 중국인들이 경악한 이유│역사왜곡 논란 드라마 폐지를 본 중국의 예상 밖의 반응│한국인들 너무 무서워│중국어로[路]
한류멋쟁이
937 21-03-30
99 케이팝이 이슬람권에 촉발한 문화적 충돌, "말레이시아가 받아들이는 조금 특별한 방법"
한류멋쟁이
915 21-03-10
98 미국인 학부모가 쏘아올린 한국문화 수업
한류멋쟁이
1458 21-03-09
97 한국웹툰 인기폭발에 감탄사를 연발하고 있는 프랑스 상황과 한국의 흑마늘에 푹빠진 독일상황, 그리고 막강한 한류 영향력에 탄식하는 일본매체 상황
한류멋쟁이
851 21-02-27
96 BTS 팬 화상회의, 무슨 일?...지구촌 넘나드는 팬들 / YTN
한류멋쟁이
881 21-02-25
95 김밥 이제는 '스시' 아니라 'Gimbap'이죠.. 유럽에 부는 한식 바람
한류멋쟁이
810 21-02-05
94 중국 상류층에 유행중인 한국 따라하기│한국인들의 삶의 패턴을 따라하며 건강한 삶을 꿈꾸는 중국인들
한류멋쟁이
892 21-02-01
93 일본인들이 한국 연예계가 부럽다는 이유. 한국을 따라해야 한다는 소리가 일본 전역에서 나오는 상황
한류멋쟁이
925 21-01-28
92 "김치는 중국 파오차이에서 유래" 韓·中김치전쟁에 끼어든 日
한류멋쟁이
963 21-01-28
글쓰기
다음 페이지
◀이전 1 2 3 4 5 6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