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국 음악방

브라질 한류 팬, “K팝은 특별하지만 아이돌 이미지에 초점” (2015)
한류멋쟁이
| IP 115.♧.♧.237 | 조회 1157 | 2021-08-31 11:51:55

브라질 한류 팬, “K팝은 특별하지만 아이돌 이미지에 초점”

By 헤럴드경제07/21/2015

[헤럴드경제=서병기 선임기자]브라질의 한류 팬들은 케이 팝 아이돌 ‘빅 10’으로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엠블랙, 빅뱅, 2NE1, 비스트, 애프터스쿨, 2PM, 씨엔블루를 꼽았다. 또 케이 팝의 매력을 ‘멋진 춤’, ‘훌륭한 뮤직 비디오’, ‘라이브 공연의 다양한 볼 거리’의 순으로 꼽았다. 이어서 응답자들은 ‘케이 팝을 통해서 미국, 브라질 등 기존의 대중음악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을 접할 수 있다’에 가장 높은 지지를 보였다. 다음으로 ‘친구들과 플래시몹을 하며 재미있는 활동을 할 수 있다’와 ‘일상에서 받았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순으로 응답을 보였다. 

 

 


매니아들은 케이 팝의 음악적 새로움에 호응하면서 친구들과의 유대 활동이나 일상 탈출의 대리만족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브라질의 케이 팝 역시 전형적인 또래문화와 팬덤(fandom)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내용은 최근 부산외대 중남미지역원의 학술지 <이베로아메리카>에 게재된 ‘브라질의 케이 팝 수용에 관한 연구’에서 발표되었다. 이 연구는 케이 팝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브라질의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MBC 주상파울루 중남미지사장 겸 특파원을 역임한 정길화 PD가 발표한 이 논문에 따르면 ‘케이 팝을 알게 된 계기’를 묻는 설문에서 브라질 응답자의 45%가 ‘케이 팝을 즐기던 친구를 통해서’라고 응답하였다. 두 번째로 23.3%가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서’라고 답하였으며, 세 번째는 21.7%가 응답한 ‘제이 팝(J-Pop) 등 아시아 음악을 듣다가’로 나타났다. 브라질에서는 케이 팝이 주로 친구나 SNS를 통해 향유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브라질 한류의 전파되는 하나의 계기가 제이 팝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 연구는 중남미에서 특파원 활동을 하면서 한류 콘텐츠 비즈니스 업무를 수행한 정길화 PD가 문화현상으로 브라질의 한류를 잘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2012년 현지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MBC 중남미지사가 브라질 상파울루의 복합문화공간인 리브라리아 쿨투라와 공동주최한 ‘K 인베이전(invasion)’ 행사에 참가한 케이 팝 매니아들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였다고 한다. 정 PD는 귀국 후에는 브라질의 ‘국경없는 과학’이라는 국비 프로젝트로 한국에 유학을 온 대학생 중 헤비 유저(heavy user)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병행하였다. 브라질의 매니아들은 인터뷰에서 “케이 팝은 특별하다”, “리듬과 춤이 전염성이 강하다”, “케이 팝은 강력하고도 열정적인 팬들과 함께 만들어진다”, “다른 음악들에 비해 모든 면에서 다르다” 등으로 케이 팝의 중독성과 매력에 입을 모았다. 반면 “케이 팝이 보편적인 문화는 아니다. 친구들 사이에서 케이 팝 얘기를 먼저 꺼내지는 않는다”는 답도 있었다. 

 

정PD는 이번 논문과 관련하여 “한류에 대한 기존의 담론이 여전히 민족주의적, 경제중심주의적 시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전제하고, “문화 현상으로서의 이해보다는 콘텐츠 비즈니스의 결과만을 추구하는 일부의 경향에 대한 아쉬움에서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브라질의 경우 의외로 문화적 보수성이 높고 제도적으로 진입장벽이 있는 가운데 케이 팝도 브라질 일부에서만 호응이 있을 뿐 전국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고 한다. 브라질의 한류 역시 장밋빛 환상이나 수익성 위주의 논리는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0
작성자 서명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자비가 부족하고,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김구)
▼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35
  • 전체
  • 케이팝
  • 국악
  • 댄스
  • 동영상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35 [해외반응] 해외네티즌, "왜 한국과 중국인은 J-POP에 데뷔하지 않나?"
한류멋쟁이
36 24-05-16
34 하이브가 영입한 일본 천재 아이돌 히라테 유리나는 누구? #HYBE
한류멋쟁이
765 22-12-31
33 최광식, “드라마, K-pop 다음의 한류는 전통문화” (2012)
한류멋쟁이
1127 21-08-31
32 이자람 "판소리 정서가 한이라는 데엔 정말 반대… 그 안엔 희로애락 다 있죠" (2011)
한류멋쟁이
1267 21-08-31
31 국악음반 제작자 “1년에 국악CD 10장 팔려” 국악 음반계 실태 폭로 (2011)
한류멋쟁이
1301 21-08-31
브라질 한류 팬, “K팝은 특별하지만 아이돌 이미지에 초점” (2015)
한류멋쟁이
1156 21-08-31
29 삼바보다 한국전통무용이 더 좋아요" (2015)
한류멋쟁이
1276 21-08-31
28 음악가 세종대왕의 파리 데뷔 (2015)
한류멋쟁이
2267 21-08-31
27 ‘힐링 巫歌’라는, 장르의 탄생
한류멋쟁이
968 21-02-08
26 당신은 아직 한국 음악의 반도 모른다(Feat. 상승하는 한국인 호감도, 그 중 눈에 띄는 국가)
한류멋쟁이
833 21-01-21
25 니쥬(NiziU)는 어떻게 세계를 흥분시켰는가, 일본 엔터가 한국에 완패한 이유
한류멋쟁이
1924 20-08-13
24 아니.. 이게 무명가수 실력이라구요?❤️ 노래 한곡하자마자 시청자 개떡상❤️
한류멋쟁이
1034 20-06-25
23 [온스테이지2.0] 박문치 - 널 좋아하고 있어(With 기린,Dala,준구)
한류멋쟁이
1761 20-06-15
22 [온스테이지2.0] 이루리 - Dive
한류멋쟁이
1790 20-06-15
21 상상도 못한 조합 치타 X 송가인 X 윤민수 님아
한류멋쟁이
2168 20-06-12
20 이날치 LEENALCHI - 호랑이 뒷다리 Tiger's Third Leg [Official M/V]
한류멋쟁이
1125 20-06-12
19 [유튜브온리] 손열음, 김광민의 미방송곡 직캠 버전 대공개!?
한류멋쟁이
1061 20-03-16
18 [놀면 뭐하니?] 피아노와 혼연일체!!! 손열음의 터키행진곡 변주♪ 20200229
한류멋쟁이
1180 20-03-16
17 네덜란드 사람들이 K-POP에 열광하는 이유 [K-pop 04 Final]
한류멋쟁이
1135 20-03-11
16 방탄소년단 BTS & K- Pop을 무시하면 안되는 2가지 이유 [미친감성]
한류멋쟁이
1236 20-03-01
글쓰기
다음 페이지
◀이전 1 2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