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식사랑&디미방

"일본, 김치 건들지 말라" 시민들 '분통'..日 '노노재팬' 다시 불붙나
한류멋쟁이
| IP 210.♧.♧.119 | 조회 980 | 2021-01-27 12:14:07

"일본, 김치 건들지 말라" 시민들 '분통'..日 '노노재팬' 다시 불붙나아시아경제 2021. 01. 27. 

 

중국에 이어 일본까지 '김치 역사 왜곡'

시민들 "노노재팬 다시 활발히 해야"
'먹방' 유튜버 '햄지', 서경덕 교수 '김치 역사 흔들기' 반박

 

'먹방'으로 유명한 유튜버 '햄지'가 중국의 '김치 동북공정'에 항의하는 방송을 하고 있다. 사진=햄지 유튜버 채널 캡처

'먹방'으로 유명한 유튜버 '햄지'가 중국의 '김치 동북공정'에 항의하는 방송을 하고 있다. 사진=햄지 유튜버 채널 캡처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우리나라 전통음식인 김치를 두고 자기 나라의 김치라며 연일 목소리를 내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불만 섞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인 '노노재팬'이 다시 불붙는 것 아니냐는 견해도 있다. 김치 역사를 왜곡하는 중국 등 다른 나라도 문제지만 일본이 이제는 김치까지 건드렸다는 점에서 국민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최근 한국 전통 음식인 김치의 기원을 둘러싸고 한국과 중국 유튜버 등 논쟁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치는 중국 입장에서 파오차이(泡菜·절임채소)의 파생형이라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26일 일본 온라인 시사경제지 재팬비즈니스프레스(JBPress)는 '한중 김치 기원 논란으로 엿보는 한국의 반론 문화'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치는 파오차이의 파생형"이라는 주장을 폈다.

매체는 "중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인증을 받은 '파오차이'는 '소금에 절인 야채'라는 뜻이지만, '고려사'에 기술된 한국 최초의 김치는 제사의 제물인 '침채(沈菜)'로 절인 야채, 마늘, 생강을 넣고 만들어진 것"이라며 "파오차이와 김치의 원조인 침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각 국가에서 각각의 풍토와 민족성, 생활 습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 한국 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인용해 2020년 8~12월 한국의 김치 수입량은 28만 1000t으로 수출량의 약 7배에 달한다며 "한국은 저렴한 중국산 김치 없이는 식생활을 유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국과 중국의 김치 기원 논쟁은 지난해 11월 중국 쓰촨 지방의 염장 채소인 '파오차이'가 국제표준화기구(ISO) 인증을 받은 것을 두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는 '김치 종주국의 굴욕'이라고 보도하면서 불거졌다.

논란이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 20일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나는 식품 문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지만, 내가 보기에는 파오차이는 소금 등에 절인 발효식품의 일종으로 일부 소수의 몇 개 나라와 지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화 대변인은 "중국에는 이를 '파오차이'라고 부르고, 한반도와 중국의 조선족은 '김치' 라고 부른다"면서 "이런 것들은 서로 통하는 부분도 있지만 재료나 맛, 요리법 등은 각자의 장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김치와 파오차이가 같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시민들은 당장 분통을 터뜨렸다. 중국과 일본의 주장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과 함께 특히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다시 활발하게 해야 하는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관련 소식을 뉴스를 통해 접했다고 밝힌 40대 회사원 김 모씨는 "중국과 일본의 우리나라에 대한 역사 왜곡이 하루 이틀이 아니지만, 김치 등 음식까지 건드리는 것은 너무 나갔다"라며 "노노재팬 운동을 더욱 강력하게 해야 할 것 같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30대 직장인 박 모씨는 "김치는 우리나라 고유한 역사 그 자체다"라면서 "독도도 자기 땅이라고 우기더니 이제는 김치까지 걸고넘어진다, 황당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중국 주장에 대한 국내 유튜버의 반박 영상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유튜버는 해당 영상으로 중국 소속사에서 계약을 종료 당하는 등 불이익을 받았지만, 굴하지 않고 지속해서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음식이라는 취지의 영상을 올리고 있다.

유명 '먹방' (음식 먹는 장면을 전문적으로 보이는 방송) 유튜버 '햄지'는 25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리얼먹방 김장 김치 담그기'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본인이 직접 김치를 담근 뒤, 돼지고기 수육과 맛있게 먹는 모습을 공개했다.

그는 영상을 올리면서 '11월에 우리 음식을 알리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업으로 제작한 콘텐츠'라고 표시했다.

앞서 햄지는 '김치 동북공정'에 나선 중국 유튜버 등을 향해 '김치는 한국 음식'이라며 소신 발언을 하고 중국 소속사에서 계약해지 통보를 받은 바 있다.

뉴욕타임스에 게재된 김치광고

뉴욕타임스에 게재된 김치광고

중국과 일본의 김치에 대한 역사 왜곡이 일어나는 가운데 민간 차원에서의 반박도 이어지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19일 뉴욕타임스에 '김치 광고'를 게재했다.

해당 광고는 18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 미주판 A섹션 5면과 인터내셔널 뉴욕타임스(유럽·아시아판)의 5면에 게재됐다.

광고 내용을 보면 '한국의 김치, 세계인을 위한 것'이라는 제목 아래 "김장 문화는 2013년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역사적으로 수천 년 동안 한국의 대표 음식 문화로 이어져 왔다"라는 문구가 실렸다. 또 "현재는 세계인들이 사랑하는 발효식품으로 자리매김했고, 한국의 김치는 세계인의 것이 됐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에 게재된 김치광고

뉴욕타임스에 게재된 김치광고

서 교수는 "최근 중국의 어이없는 '김치 동북공정'에 일일이 대응하는 것보단 김치에 관한 정확한 팩트를 간결하게 전 세계인들에게 알려주고 싶다"며 "뉴욕타임스 광고는 글로벌 리더들에게 홍보하기 위한 것이고, 광고 파일을 가지고 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 등 여러 SNS를 통해 전 세계 네티즌들에게 함께 홍보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0
작성자 서명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자비가 부족하고,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김구)
▼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53
  • 전체
  • 한식
  • 한복
  • 한옥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33 한국에서 미국 조지아에 한옥마을을 그대로 옮겨놓자 열폭하는 일본상황
한류멋쟁이
1190 21-09-23
32 현재 남미 전체가 한국을 따라서 식량을 바꾸겠다는 놀라운 이유 “한국은 미친 기적의 나라다” 세계적인 공항 한류가 시작되자 “또 졌다”며 질투 大폭발한 일본
한류멋쟁이
1203 21-06-22
31 미국서 난리난 한국 간식 끝판왕 회오리감자의 인기! 대박난 한국 음식들! 눈물 흘리며 먹는 추억의 간식! K-foods popular in US
한류멋쟁이
1308 21-06-17
30 캐나다 올해의 천연건강 트렌드 식품은 ‘김치’
한류멋쟁이
2294 21-06-13
29 전주 비빔밥
한류멋쟁이
2206 21-06-13
28 발효의 맛
한류멋쟁이
791 21-06-13
27 한국의 힘 김치는 과학이다
한류멋쟁이
942 21-06-13
26 밥상위 펼쳐진 우리문화 한식
한류멋쟁이
1517 21-06-13
25 미국 레스토랑이 한식을 메뉴에 넣었네!
한류멋쟁이
1679 21-06-13
24 우린 언제부터 '국밥의 민족'이었을까?
운영자1
1192 21-01-30
23 [협소주택] 세계가 놀란 한국의 온돌 주택을 지은 1000만 유튜버
한류멋쟁이
779 21-01-29
"일본, 김치 건들지 말라" 시민들 '분통'..日 '노노재팬' 다시 불붙나
한류멋쟁이
979 21-01-27
21 혐한제조기
푸른바람
1529 21-01-18
20 [일본반응] 분하지만 김치찌개가 너무 맛있다는 일본 김치찌개가 일본에서 냄비요리 1위에 등극한 상황 "그러고도 니네가 일본인이냐 왜 갑자기 매운걸 좋아하게 된거냐고"
한류멋쟁이
893 20-12-28
19 한국만 먹다가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의외의 음식들, 이 맛있는 걸 한국만 먹었다니!
한류멋쟁이
859 20-11-17
18 "한복을 좋아해 줘서 고맙다!" 한국 네티즌의 한마디에 중국이 부들부들 떠는 이유 [ENG SUB]
한류멋쟁이
830 20-11-09
17 [일본반응] 日 방송 "日 가루비의 어원은 한국의 갈비구이"
한류멋쟁이
882 20-06-27
16 한국식당 의자에 대해 외국인들이 극찬하는 이유
한류멋쟁이
982 20-03-01
15 일본 도쿄 코리아 타운 #신오쿠보 #한국치킨일본상륙
한류멋쟁이
1063 20-02-16
글쓰기
다음 페이지
◀이전 1 2 3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