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이 중국옷이라고? 중국인들 왜곡 (+ 백제풍) | |
![]() |
안녕..나는 어릴때부터 역사를 좋아해서 역사공부를 열심히 하던 한 잉여야~
아마 관심 없을 지도 모르겠지만...
우선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약간의 역사 지식이 필요해.....
다들 알다시피 고려는 30년동안 항전하지만 안타깝게 원나라에 굴복해..
그러면서 수 많은 고려 공녀들이 원나라에 끌려가게돼...
근데 이때 아름다운 고려 공녀가 당시 원나라 황제 순제의 눈에 들어 황후가 되고
그 황후가 유명한 기황후야..기황후의 영향과 당시끌려간 수 많은 공녀들에 의해서몽골에서는
엄청난 고려열풍이 불어...심지어몽골병사들이 고려어로된 고려가요도 부르고 다님(원조k-pop?)일명 고려양(高麗樣) 다들국사 시간에 한번식 들어본거지.. 한줄 나오는....
그리고반대로 우리나라에는 몽골풍이 유행하고.. 연지, 철릭(조선시대 유행했던 남자 한복),족두리, '마마'란 궁중용어..
여기까지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내용...
근데 난 너무 화나는게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유례된거는 아주 철저하게 밝히면서 우리나라에서 유례된거는 이렇게 한줄 딸랑
있는게 너무 화나.. 별로 역사 연구도 없고... 그래서 우리나라사람들 조차 어떤것이 우리나라에서 유례된걸 모르는게 너무 많아..
그래서 너무 울분스럽다가 이렇게 가만히 있는 나도 한심하고 그래서.. 지금 이라도 이렇게 조금이나마 알려야 한다고 생각했어..
우선 조금 설명하자면
이미지가 잘 연상되지 않겠지만 우리나라는 유목, 기마민족이야..
중국(여기서 중국은 한족을 말함)과 일본은 그렇지 않고...
그래서 우리나라 전통옷은 활동이 편하게 기본적으로 상의,하의로 이분법적인 옷이야..
활동성이 편하게...같은 유목, 기마민족들도 비슷함..
한복에 관해 가장 오래된 그림이라고 볼 수 있는
고구려 벽화를 보면
윗옷과 바지로 나뉘어져 있지??
우리나라는 심지어 고려때까지 여자들이 바지를 입었어..
상의, 하의로 나뉘어져 있지...
이제 중요한 고려시대로 넘어오면 (여기서부터봐도 상관없음 )
고려양이 원나라에서 유행했다고 했잖아
위에 사진은 명나라 회환데 이 그림을 보고 한국네티즌들이 엄청 놀라더라구..
한복하고 너무 똑같애서.. 저 치마저고리같은 스타일을 '오군(袄裙)'이라고 해...
고려의 옷이 원나라에서 대유행을 하고 원나라를 계승한 명나라 또한 고려옷과 비슷해진거지...
중국측 기록을 보면...
[속자치통감 제이백일십사 원기삼십이]
《续资治通鉴 卷二百一十四 元纪三十二》记载:“后亦多畜高丽美人,大臣有权者,辄以此遗之,京师达官贵人,必得高丽女然后为名家。自至正以来,宫中给事使令,大半高丽女,以故四方衣服、靴帽、器物,皆仿高丽,举世若狂。”
"황후도 역시 고려미인으로 삼아, 대신유권자는 곧 이를 귀하게 여겨, 수도 고관귀인은 반드시 고려여자를 얻은 후에야 명가가 된다.
그렇게 된 이래, 궁중급사사령, 대반이 고려여자이며, 이런 이유로 사방의 의복, 신발과 모자, 기물 모든것을 고려를 모방해, 온 세상이 미친 것 같다."
[숙원잡기]의 기록에는,《菽园杂记》::“马尾裙始于朝鲜国,流入京师……于是无贵无贱,服者日盛。至成化末年,朝臣多服之者矣。阁老万公安冬夏不脱……。大臣不服者惟黎吏侍淳一人而已。此服妖也,弘治初始有禁例。”
마미군은 조선국(고려)에서 시작되어, 수도로 유입됬으며......귀천을 가리지 않고 복식이 날로 성했다. 성화말년에 이르러, 조정 신하들도 입게 되었다. 각로만공안이 겨울에도 여름에도 벗지 않았다.....이 복식은 요사하므로, 홍치 초시에 금지되었다.
[만포필기] 《寓圃笔记》:"发裙之制,以马尾编成,系于衬衣之内。体肥者一裙,瘦削者或二三,使外衣之张,俨若一伞。", 치마를 넓히는 제도는, 말꼬리를 옷안에 엮어서 만든다. 몸을 비대하게 만든 하나의 치마로, 마른사람은 혹 두개 세개를 입는다, 옷을 바깥으로 넓게 퍼지게 만드는데 쓰는데, 우산과 같다."
[] 원나라, 명나라 시기의 한류 고려양|작성자 센트륨
마미군이 뭐냐면 저 위에 명나라 회화에서의 치마처럼 피라미드형의 치마를 말해... 말꼬리모양치마란 뜻인데 말꼬리처럼 땅에 끌린다는 것이지..
드라마의 잘못된 고증이나 개량한복과 달리 원래 우리나라 한복 치마는 서양 드레스처럼 부풀려진 형태야...
특히 고려, 조선초기가 심했지..
또한 우리나라 기록에도 보면...
세조 10년에 광주 목사 김수가 상소하기를,
"우리나라 제도는 모두 중국을 본받아 시행하나, 오직 부녀자의 머리 장식과 복색은 그냥옛 풍습대로 시행합니다.
...후략"
사진 :원나라, 명나라 시기의 한류 고려양
이건 조선 초기 한복..
한복치마를 입을때 여러벌의 속옷과 속치마들을 입었지... 부풀려 보이기 위해..
그중 속치마치곤 너무 예뻐서 올리는 무지기치마...
안에 있는치마를 무지기치마라고 해
무지기치마:
무지기 치마는 상류층 부녀들이 입던 속치마의 하나이다. 치마를
입을 때 속에 받쳐 입어 겉치마를 풍성하게 보이도록 했다.
길이가 서로 다른 치마 여러 개를 허리에 달아 층이 지도록 했는
데 층의 수에 따라 3합.5합.7합 등의 종류가 있다.
각 단에다 채색을 하여 무지개 빛을 이룬다하여 무지기 치마라
한다.
:문화콘텐츠닷컴
속치마치곤 너무 이쁘니까 요즘 현대에는 이걸 겉치마로 입더라구..
:한복사진들은 텀블러에서 퍼왔음
기모노까지 쓰면 글이 너무 길어지니까 한푸만 볼께..
'한푸(한족 전통의상)'는 전통적으로 일자 라인이야.. 땅에 끌리는 의상이라도 일자라인..
이게 전통적인 한푸...기모노와 같이 일자라인..
근데 중국에서 한류가 인기가 많다보니 한복도 인기가 아주 많아 졌어..
중국인들은 말로만 여러민족이 결합한 중국, 소수민족 또한 중국이다 이러지만
실상보면 소수민족의 역사나 공을 한족의 역사 공으로 위조하고 문화도 한족껄로 둔갑시키는 등 중화사상은
한족만의 중화사상이야.. 그래서 중국인들이 만주족의 전통옷인 치파오는 별로 좋아하지 않아.. 그래서 한족의
옷을 찾고 싶은데 한족의 나라라 할 수 있는 한나라는 너무 오래전에 망해서 남아 있는 자료가 얼마 없지
그나마 명나라가 현대와 가까운데 명나라 의복을 보니 '어? 한복하고 완전 똑같잖아? 한국의 한복은 대명의 옷이다!'이러면서
한푸라며 저 오군(치마저고리)을 만들어서 입고 다니고 해외사이트에 한족의 옷이라고 홍보하고 다니고 있어...
당장 구글에 hanfu라고 치면 고려에서 유례된 오군이 나와.. 특히 텀블러www.tumblr.com에서 'hanfu'라고 검색해도 저 오군이
엄청 나오고 명나라 옷이 한복으로 전해졌다고 나와있어...
앞에서 말한 오군, 즉 치마저고리 형태는 명나라초기까지 인기가 있었지만 후에 한족문화부흥운동의시작과한족의 문화가 아니라면서 금지되어서 사라져... 한때나마 입었으니 한푸라고도 할 수 있겠지... 남자 한복중에서 중국에서 전례된 옷을 한복이라 하듯이..
하지만 중국인들은 분명 고려에서 유례된 옷인데 이것은 한족의 나라인 명나라의 옷이며 원래 자기네 꺼라고 우기고 세계사이트에 퍼나르고 있으니 명백한 왜곡이라고 생각해..
근데 문제는 당장 네이버에 명나라의복이라고 검색만 해봐도 한국네티즌들이 명나라의복사진을 보고 조선이 명나라를 카피했다고 말하더라.. 물론 대례복같은건 명나라에서 받아 써서 명나라에서 유례되었다고 할 수 있지 근데 흔히 한복하면 생각나는 치마 저고리형태를 명나라옷이라고 하는건 반대된 생각이야.. 요즘 중국인들이 무조건 아시아의 것은 중국에서 유례되었다고 주장하는데 난 이런 중국의 오만함이 너무 화가나면서도 무관심한 우리 국민들도 문제라고 봐.. 내가 어떤 한복을 좋아하는 외국인의 블로그에 가보니까 외국인들이 한복이 중국에서 건너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더라고.. 일본은 이때다 싶어 조선은 명나라의 짝퉁나라다 라고 해외에 선전하고.. 유투브에 일본인이 만든 영상도 있어..
웃기는건 오히려 일본이 원조가 없는 거의 나라인데^^
일본이 그렇게 자랑하는 국풍문화의 시작인 헤이안시대 .. 사실 헤이안시대의 귀족가문을 살펴보면 한국도래계 가문이 대부분..
겐지이야기로 유명한 그 시대 화려한 기모노들 있지? 일본이 아주아주 자랑하는 화려한 귀족문화.. 사실.. 헤이안시대 귀족문화는 소수의 백제도래계인들이 만든 문화라는거...
이건 백제 도래인이 만든 일본의 오래된 절인 '젠코지' 저 인물상은 백제 도래계인들이고.. 여기 절에서 조차
저 부인이 치마 저고리를 입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어.. 근데 저 옷 익숙하지 않아??
저 겹겹이 입는 스타일... 이건 일본학자들이나 기모노전문가도 인정한건데 일본의 기모노에 기대한 영향을 미친건 백제옷이라고 할 수 있어..
: 연합뉴스
위에 벽화(부소산성 벽화조각)는 잘 안 보이지는 않지만 대강 옷 스타일이나 머리 푼 스타일이 일본 중세시대랑 너무 똑같지 않아?
헤이안시대 복식은 아마 백제스타일일거라는 일본학자가 말하는 내용이 역사스페셜에서 나왔는데
찾아보면 나올꺼야..ㅜㅜ
여기서 백제풍의 기모노란 우리가 흔히 아는 커다란 리본(오비)달린 에도시대 기모노가 아니라 만화에도 많이 나오는 헤이안시대 기모노를 말해.. 일본학자들은 헤이안시대가 되면서 견당사, 견신라사를 폐지하고 국풍문화가 발달했다고 하지만 실상은 대부분 한국에서 넘어간 문화들이야....
'쥬니히토에'라고 헤이안시대때 여자들이 입던 기모노 이걸 중국에서 넘어왔다고 하지만 사실 백제풍이 더 커..
이건 일본 왕세자비의 쥬니히토에..
이 옷은 우리나라로 치면 대례복이라고 칠 수 있어.. 원래 대례복이 평소 입는 옷보다 예전 그 상태를 많이 유지하고 있지..
일상복말고 정장이 옛날 스타일을 닮은것처럼..
백제에서 일본으로 의복만드는 기술이 넘어갔다거나 야마토시절 일본이 백제옷을 입었다 오사카가 백제주다 이런 백제이야기들은 유명하니까 패스할께..
그리고.. 끝으로 고려풍의 옷을 한족의 고유옷이라고 입고 다니고 선전하는 중국인들...
여기 사진은소수...중국사이트랑 구글에서 보면 엄청 많음...
오히려 전통적인 한푸
↓
↓
# | 제목 | 이름 | 조회수 | 날짜 |
---|---|---|---|---|
92 | 한국인이 김치와 마늘을 먹는 이유 | 푸른바람 | 1079 | 21-03-08 |
91 | 한눈에 이해 가능한 사고 경위서 | 푸른바람 | 2439 | 21-03-04 |
90 | 조선시대 숙종과 송편 (feat. 푼주) | 푸른바람 | 2391 | 21-02-26 |
89 | 19세기에 발명된 끔찍한 고문기구 | 푸른바람 | 2182 | 21-02-26 |
88 | 오리 만여마리를 풀었더니.태국 | 푸른바람 | 2221 | 21-02-25 |
87 | 2021년 트렌드 미리보기 | 푸른바람 | 2285 | 21-02-19 |
86 | 전기차가 보급될수록 의외로 암울해지는 직업 | 푸른바람 | 2438 | 21-02-18 |
85 | [동물귀욤] 한국에 고라니가 많은 이유 | 푸른바람 | 2436 | 21-02-09 |
84 | 게임스탑 사태에대한 정리.txt | 한류멋쟁이 | 2594 | 21-01-29 |
83 | 말 많던 간헐적 단식 근황 | 푸른바람 | 2562 | 21-01-29 |
82 | 與秀長優中國詩(여수장우중국시) | 태호복희 | 2161 | 21-01-20 |
81 | 전기차의 치명적 단점.[1] | 푸른바람 | 2575 | 21-01-12 |
80 |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 | 한류멋쟁이 | 1272 | 20-12-31 |
79 | 어느 일본인이 생각하는 공부를 하는 이유 | 푸른바람 | 2612 | 20-12-28 |
78 | 미쿡 중산층 근황.jpg | 한류멋쟁이 | 2516 | 20-12-25 |
77 | 임진왜란 당시 조선 농부 클라스 | 푸른바람 | 2323 | 20-12-23 |
76 | [일반] 에드가 케이시의 "삶의 열 가지 해답" | 한류멋쟁이 | 2356 | 20-11-30 |
75 | 중국 일본은 왜 방탄 블핑에 관심이 많을까? | 한류멋쟁이 | 1076 | 20-11-30 |
한복이 중국옷이라고? 중국인들 왜곡 (+ 백제풍) | 한류멋쟁이 | 2399 | 20-11-10 | |
73 | “한복은 중국 것” 황당 주장하며 한국 서비스 돌연 중단한 中 게임사 | 한류멋쟁이 | 1240 | 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