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국 역사방

조선시대 사람들이 책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알수있는 사치스런 그림 - 책가도
푸른바람
| IP 210.♧.♧.119 | 조회 1880 | 2021-03-29 11:32:36

특히 궁중화원이 그린 책가도가 많다는 것은 왕실에서도 그 쓰임새가 많았던 것을 의미합니다. 일찍이 정조는 어좌 뒤에 일월오봉도 대신 책가도를 배치하였다고 하며 “책을 즐겨 읽지만 일이 많아 책을 볼 시간이 없을 때는 책가도를 보며 마음을 푼다.”라고 스스로 밝힌 바 있습니다. 이 같은 책 사랑은 조선 왕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았습니다.

 

‘이곳에서 감탄할 수밖에 없고 우리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것은 아무리 가난하다 해도 어느 집이든 책이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병인양요(1866년) 때 프랑스 해군 장교 주베르가 한 말인데, 이 글을 보면 조선이라는 나라가 얼마나 책을 소중히 여겼는지 알 수 있으며, 그만큼 책과 관련된 생활 문화가 뿌리 깊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궁중에서부터 민간에까지 광범위한 계층에서 모두 사랑받는 그림, 책가도가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17세기 한 중국학자가 쓴 기록에는 조선 사신들의 책에 대한 관심이 서술되어 있다. “조선인들은 책을 가장 사랑한다. 북경에 파견 온 조선 사행단은 매일 장터에 나가 고전 및 신서, 통속소설을 비롯해 조선에 없는 모든 책에 대해 사람들에게 묻고 가격에 상관없이 사들인다. 중국 희귀본들을 조선에서 찾을 수 있다.”

 

출처 월간민화

 

 

 

 

 

출처 원문에 재미있는 글이 많으니 덬들도 한번쯤 봐보길!

 

 

0
* 출처: https://theqoo.net/index.php?mid=square&fil...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24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24 러시아가 대한민국을 중국, 일본보다 중요하게 보는 이유 #박정호교수 #여의도멘션 #러시아
운영자1
285 24-02-05
23 조선인들에게 지옥이었던 사할린
운영자1
608 23-03-18
조선시대 사람들이 책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알수있는 사치스런 그림 - 책가도
푸른바람
1879 21-03-29
21 한석봉이 유명한 이유
푸른바람
1563 21-03-23
20 석굴암은 진정으로 방치되었던 것일까?
푸른바람
1485 21-01-28
19 대한사랑 배달의숙 명사초청 특강 liveㅣ동북아 역사전쟁, 어디까지 왔나?ㅣ이덕일 소장
한류멋쟁이
999 20-11-28
18 만주에서 출토된 삼족오, 곰, 호랑이 문양
한류멋쟁이
1066 20-10-26
17 영화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에 대해 알아보자
한류멋쟁이
929 20-10-26
16 다뉴세문명, 2300년 전 이미 나노기술을 가지고 있었던 동이족 고조선
황금인간
1780 20-08-12
15 최초의 벼농사가 한반도? 그런데 유적지 상태가?
한류멋쟁이
1094 20-06-12
14 1,000년 전 백두산 대폭발 당시 상황 (Mt. Baekdu had a volcanic eruption a thousand years ago.)
한류멋쟁이
1283 19-12-22
13 백두산 폭발과 발해의 멸망
한류멋쟁이
1299 19-12-22
12 고구려보다 넓은 영토와 군사력을 가졌던 발해는 왜 갑자기 멸망했을까?
한류멋쟁이
1238 19-12-22
11 HD역사스페셜 - 고구려 수당전쟁 1편 수나라 백만 대군은 왜 고구려에 패했나
한류멋쟁이
1242 19-12-22
10 다뉴세문경의 비밀, 드디어 모두 풀리다! <1>
한류멋쟁이
2214 19-12-16
9 64개국 219개 민족 유전체 분석..주요 약물반응 규명
한류멋쟁이
2201 19-12-05
8 공주 수촌리서 금제귀고리, 구슬목걸이 발견..백제 세공기술의 진수
한류멋쟁이
1412 19-12-02
7 [문화소개] 우리와 닮은것도 모자라 한국어를 쓰는 러시아의 바이칼 소수민족(ft.아리랑 쓰리랑~)
한류멋쟁이
1312 19-11-18
6 바이칼의 부리아트족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한국인이라는 놀라운 연구
한류멋쟁이
1347 19-11-18
5 [국조 단군]을 기억하는 러시아 우랄 산맥의 코미족 1편
한류멋쟁이
1354 19-11-18
글쓰기
다음 페이지
◀이전 1 2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