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국어와 한글방

영조때 백과사전서 서울의 한자 표기 찾았다
한류멋쟁이
| IP 210.♧.♧.119 | 조회 1357 | 2020-02-13 21:03:05

주간조선 2001.04.12 /1648호

 

[학술] 영조때 백과사전서 서울의 한자 표기 찾았다

 

서지학자 김시한씨, 2년여 노력 끝 '증보문헌비고' 기록 발견

 

우리나라의 모든 행정구역은 한자 표기가 가능하지만 오직 한 곳, 한글전용으로만 통용되던 수도 서울의 한자 표기가 '徐울(초두 밑에 宛)'이라는 결정적 문헌이 한국고서연구회 이사이자 서지연구가인 김시한(70ㆍ경안서점 대표)씨에 의해 발견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서울의 한자표기가 '徐울(초두 밑에宛)'임을 입증하는 '증보문헌비고'의 문장. 문제의 문헌은 조선조 영조 때 어명에 의해 정부가 편찬한 전통문화 대백과사전인 ‘증보문헌비고’. 이 책의 14편 여지고 2항 신라편에 ‘여지승람에 후인들이 모든 서울을 일컬어 서벌이라고 했다가 후에 변하여 서울로 했다’는 대목이 수록돼 있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진 것이다.

 

10년 전부터 서울의 한자 표기법을 찾아나서기 시작한 서지학자 김시한씨는 그동안 서울의 한자 지명이 ‘徐울(초두밑에 宛) ’이라는 10여종 이상의 자료와 사료를 발굴하여 학계와 언론에 소개했다. 그런데 이 사료들은 정통성이나 권위를 인정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어 학계에서는 이를 역사적 사실로 공인하지 못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 와중에 조선 정부가 공식으로 간행한 권위있는 문헌에서 서울의 한자가 ‘徐울(초 두 밑에 宛)’이라는 사실이 최초로 발견됨으로써 서울의 한자 지명 선정 작업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김시한씨가 ‘증보문헌비고’에 서울의 한자 표기가 이렇게 수록돼 있다는 단서를 잡은 것은 조선 영조시대에 편찬된 유득공의 ‘21도 회고시’에 수록된 시를 통해서였다.

 

단군조선부터 고려 때까지의 고도 21곳을 시로 회고한 이 시집의 신라편에 수록된 작품 중 ‘진한 육부에 가을 연기 맑았으니/서울의 번화한 것 상상할 수 있다/만만파파 호를 가한 피리/ 가로 불어 세 성이 일천년을 누렸다’란 대목을 발견한 것. 저자 유득공은 이 시를 노래한 후 ‘서울은 문헌비고에 이르기를 신라의 국호는 서야벌(徐倻伐)인데 후대 사람들이 경도를 말하려면 서벌(徐伐)이라 하여 차츰 변하여 서울이 되었다’라는 해제를 달아 놓았다.

 

이 시를 근거로 김씨는 구한말 편찬된 ‘증보문헌비고’ 전집을 샅샅이 뒤져가며 서울의 한자 표기 사례를 찾아나섰다. 그러나 250권 50책에 이르는 방대한 백과사전의 한 구석에서 서울의 한자표기를 찾아낸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었다. 책과 씨름한 지 2년여만에 마침내 문제의 대목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10여 년 연구 끝에 서울의 한자 표기가 '徐울(초두 밑에宛)'이란 결정적 문헌을 찾아낸 서지학자 김시한씨. 앞에 쌓여 있는 것이 '증보문헌비고'다. 이밖에도 김씨는 1930년에 출간된 서울의 대표적인 지지인 ‘한경지략’의 서울 연혁부분에서 ‘서울은 수도라는 뜻이고 신라 때의 서야벌, 서벌이 후에 차츰 변하여 서울이라 하였다’라는 대목을 발견, 학계에 보고했다. 또 한글학자이자 한글사전 편찬위

 

원, 한글학회 이사를 지낸 이중화가 1918년 발간한 ‘경성기략’이란 저서의 1권에 ‘경성은 조선어에 서울이라 하니 경도, 즉 수도의 뜻이다.

 

10여년의 추적 끝에 서울 한자표기의 결정적 문헌을 발굴한 김시한씨는 “서울의 한자가 ‘徐울(초두밑에 宛) ’이란 사실을 까맣게 모른 채 ‘한성’이란 모욕적인 표기법을 바꾸지 못하고 있는 것은 관련 학자들과 연구가들의 탐구열 부족 탓”이라고 말했다.

 

0
작성자 서명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자비가 부족하고,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김구)
▼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44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24 '오소오소', 상하이 방언에 숨은 한국어
한류멋쟁이
1219 20-02-23
영조때 백과사전서 서울의 한자 표기 찾았다
한류멋쟁이
1356 20-02-13
22 [문화소개] 우리와 닮은것도 모자라 한국어를 쓰는 러시아의 바이칼 소수민족(ft.아리랑 쓰리랑~)
모아모아
1217 19-12-27
21 담배 한갑의 마지막 한가치 돗대? 돛대?
한류멋쟁이
2601 19-12-13
20 [우리말 바루기] ‘결재’를 해야 하나, ‘결제’를 해야 하나
한류멋쟁이
1385 19-12-02
19 대만 내 무관심 20년 후, 철밥통 인기학과로 변모한 한국어 상황
한류멋쟁이
1389 19-11-18
18 베트남에서 공부잘하면 모두가 '한국어'를 배우는 진짜이유, 프랑스에서 한국어 잘하면 벌어지는 일
한류멋쟁이
1616 19-11-18
17 몽골의 한국어 열풍 (특파원 현장보고 2009.10.10)
한류멋쟁이
1380 19-11-18
16 한국어를 전공한 뒤 인생이 바뀌었다는 베트남 커리어우먼!
한류멋쟁이
1225 19-11-04
15 “다 통한다?!” 세계 공용어가 되고 있는 한국어
한류멋쟁이
1246 19-11-03
14 K팝 너머 세종학당 있다"…"한국어·문화·음식 강좌" 
한류멋쟁이
1938 19-11-02
13 외국인들이 어려워 한다는 한국어 숫자 읽기..
한류멋쟁이
3526 19-10-31
12 현재 프랑스에서 한국어를 반드시 배워야 한다는 이유, "전세계 언어를 리드하고 있는 한국어의 클라스"
한류멋쟁이
1327 19-10-30
11 한국어는 세계적인 언어이다 (Korean is a World Language)
한류멋쟁이
1189 19-10-30
10 미국인이 여동생 한글 30분안에 가르치기
한류멋쟁이
1230 19-10-15
9 30 분 이내에 부모님에게 한국어를 읽고 쓰는 법을 가르치기!
한류멋쟁이
1408 19-10-15
8 한국아이가 미국아이를 처음 만나면 하는 말
다물
1298 19-10-11
7 한국어 배우기 열풍.
다물
1287 19-10-11
6 전세계에서 재평가받고 있는 한글의 위상 (국뽕과 씁쓸함 주의)
한류멋쟁이
1417 19-10-09
5 최근 세계적으로 난리난 한글 근황.jpg
한류멋쟁이
1953 19-10-09
글쓰기
다음 페이지
◀이전 1 2 3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