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끈 강제징용 해법…日 '전향적 사과' 어려운 이유 | |
![]() |
[강제징용 해법 후폭풍]①日화답만 기다리는 韓과거사 인식차의 핵심은 “배고픔에 두들겨 맞으면서도 하얗게 핀 가시나무 꽃 핥아먹었지” 2021년에 나온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채록집의 제목이다.
강제징용 피해자 권창열씨가 1941년 노무자로 일본에 끌려가 겪은 일을 술회한 구술에서 따왔다.
권씨와 같이 강제노동에 모집된 사람은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약 700만명. 이들은 탄광, 철도, 토목 현장으로 옮겨졌고 상당수가 폭행, 고문, 사고사, 영양실조, 익사로 숨졌다.
‘일본교통공사 70년사’란 기록물은 이렇게 전했다.
‘부산에서 시모노세키로 수송돼 오는 노무자들은 매일 500명 내지 1000명 정도로, 탄광, 광산, 철도, 토목 등 업종별로 나누고, 다시 규슈, 시코쿠, 간토, 훗카이도, 사할린 및 남태평양 섬들까지 지구별로 나눠 수송, 알선했다.
쇼와 16년(1941년) 6월부터였다.
’ 담담한 기술이지만 당시 노예처럼 ‘수송’되었던 강제징용 현장의 참상을 보여준다.
가이지마...
* 출처: 아시아경제 2023-03-09
0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