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류열풍소식

"오징어게임, K컨텐츠 폭풍의 최근사례..'韓의 침공' 현실로"
한류멋쟁이
| IP 110.♧.♧.52 | 조회 697 | 2021-10-16 15:35:26

"오징어게임, K컨텐츠 폭풍의 최근사례..'韓의 침공' 현실로"

 

이데일리 2021. 10. 16.

 

수미 테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구원 기고문

"유례없는 성공 거둔 韓 컨텐츠, 소프트파워 강국으로"

"경제성장·국제영향력 확대와 韓정부 노력 맞물린 결과"

"확대된 소프트파워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더 큰 과제"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인 `오징어 게임`을 비롯한 한국 문화 콘텐츠들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한국 정부가 장기간 공을 들였던 `한국의 문화 침공(The Korean Invasion)`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의 문화 침공`이라는 표현은 지난 1960년대 비틀스(Beatles)를 필두로 한 영국 가수들이 팝의 본고장을 자처하던 미국에 진출해 전 세계 팝 역사의 흐름을 바꿔 놓았던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을 차용한 것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싱크탱크 중 하나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수미 테리 선임 연구원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외교 전문지인 ‘포린 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 90여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을 거론하며 “이는 한국에서 생산된 문화 컨텐츠들이 전 세계에 폭풍우처럼 몰아치고 있는 하나의 최근 사례일 뿐”이라고 밝혔다.

 

한국계 미국인인 테리 연구원은 미 중앙정보국(CIA)에서 한국을 분석하던 전문가 출신이다.

 

그러면서 그는 K팝을 대표하는 방탄소년단(BTS)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을 휩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등 이른바 ‘한류’로 불리는 한국 컨텐츠가 유례가 없을 정도로 글로벌 성공을 누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테리 연구원은 “과거 역사적으로 자국 문화를 해외로 전파하는 것보다는 중국과 일본의 문화적 지배를 막는데 더 신경을 썼던 한국이, 이젠 세계적인 소프트파워(soft power) 강국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를 두고 한국의 문화침공으로 불렀다.

 

테리 연구원은 이런 한국의 문화 침공이 실현된 이유에 대해서는 김대중 정부를 위시한 한국 정부가 오랫동안 공들인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오늘날 전 세계 수백만명이 한국 문화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데도 그것이 어떻게 이처럼 큰 성공을 거뒀는 지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면서 “한 나라의 문화적 성장은 단순히 소수의 영감을 가진 창작자들에 의한 것이 아니라 경제 성장과 더 큰 세계적 영향력의 형태로 특정한 창조산업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장기간 노력해 온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은 점점 보편화하는 대중문화와 함께 민주주의의 이상을 확산시키면서 현대 국제 정치에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기회를 갖고 있다”고도 했다.

 

다만 그는 “한국은 이처럼 소프트 파워를 성장시키는 탁월한 일을 해냈지만, 앞으로 외교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 힘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0
작성자 서명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자비가 부족하고,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김구)
▼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109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69 트럼프에 한방 먹인 K-POP의 위력!
한류멋쟁이
906 20-06-25
68 K팝 문화의 위력(+김동석 페북).jpg
한류멋쟁이
1613 20-06-25
67 "한국의 과거를 고려하면 정말 기적" 세계 최강의 과학지 '네이처'가 무려 특집으로 한국을 세계1위라며 분석한 이유 "한국은 세계적 선도국"
한류멋쟁이
1597 20-06-21
66 [브라질방송] 한국,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 극찬
한류멋쟁이
1645 20-06-11
65 선진국에서 자신의 자식을 한국에 꼭 유학보낼꺼라 다짐하는 이유 "선진국이라 불렸던 나라들이 한국을 선진국이라 부르고 있다"
한류멋쟁이
1095 20-04-03
64 방탄소년단 'ON' 오피셜 MV 1억뷰
한류멋쟁이
1958 20-03-31
63 "한국이랑 친합니다!" 인도네시아 장관의 한국 친분에 찬사보내는 인도네시아 반응
한류멋쟁이
1075 20-03-26
62 세계적 위기에 한국을 배우자는 "위기대응 한류"가 등장 "한국이 최고의 모범이다" "모든 국가가 한국을 따라야 한다."
굿모닝
1045 20-03-26
61 한류는 서구문화가 지배했던 세계에 신선한 공기와 같다. [ 해외반응, 해외뉴스, 한류 전문 채널 ]
한류멋쟁이
821 20-03-11
60 일본인이 한류를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이것!?‍♀️
한류멋쟁이
1064 20-03-11
59 북한 밀레니얼 세대의 K-beauty [ 해외반응, 해외뉴스, 한류 전문채널 ]
한류멋쟁이
1015 20-03-11
58 전세계서 한국만 따라하면 성공한다고 하는 이유, "설정은 간단하지만 천재적이다"
한류멋쟁이
953 20-03-04
57 하다못해 이젠 '이것'까지? 뜻밖의 한류 열풍! 시도 때도 없이 식빵 굽는 중국인들!ㅋㅋㅋㅋㅋ
한류멋쟁이
983 20-03-03
56 현재 전세계 부자들이 한국병원에 몰려든다고 하는이유 "한국 엄청나다 완전히 눈도장 찍음 반드시 방문할 것"
한류멋쟁이
1056 20-03-01
55 [BTS] 방탄소년단 ON "전세계 유튜브 뮤직비디오 차트 1위 달성" (BTS hit No.1 on world M/V chart)
한류멋쟁이
1066 20-03-01
54 일본 청소년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한국어 열풍 "한국말 해야 인싸다! 한국문화와 한국어가 이제 대세다!"
한류멋쟁이
1229 20-02-16
53 "일본반응"(제4차 한류붐은 “한국을 배우기”,"한국을 동경하기 시작했다")
한류멋쟁이
1130 20-02-16
52 도대체 한국인들에게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거냐
한류멋쟁이
1124 20-02-11
51 서양인들 일상에 한국 대중문화가 자리잡은 상황
한류멋쟁이
1042 20-02-04
50 [NOW] 점집에도 한류 열풍? 사주 보러 줄서는 외국인들
한류멋쟁이
2087 20-02-03
글쓰기
다음 페이지
◀이전 1 2 3 4 5 6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