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두운화면
  • 로그인
  • 회원가입
한스타일
  • 유머와 공감
  • 한류공간
  • 정보와 소통
  • 취미공유방
  • KPOP
  • 공지
  • ✅한류링크
게시판
  • 유머와 공감
    • 자유게시판
    • 시사 (뉴스봇)
    • 재밌는 사진방
    • 재밌는 영상방
    • 코로나19 관련
  • 한류 상황판
    • 해외 한류 소식
    • 한국 음악방
    • 한류영상방
    • 한국어와 한글방
    • 한식/한복/한옥
    • 한국 역사방
    • 세계역사 공부방
    • 세계뉴스/역사전쟁
  • 정보와 소통
    • 한일역사경제문제
    • 한중역사경제문제
    • 생생외국 경험방
    • 생생한국 경험방
  • KPOP
    • 걸그룹 일반
    • 보이그룹 일반
    • 트로트한류
  • 취미공유방
    • IT/과학/경제
    • 국방/군사/무기
    • 방송/연예
    • 사회/문화
    • 영화/드라마/애니
    • 미스터리

한국 역사방

공주 수촌리서 금제귀고리, 구슬목걸이 발견..백제 세공기술의 진수
한류멋쟁이
| IP 210.♧.♧.119 | 조회 1413 | 2019-12-02 14:25:20

공주 수촌리서 금제귀고리, 구슬목걸이 발견..백제 세공기술의 진수 2019.12.02. https://news.v.daum.net/v/20191202091508551 공주 수촌리 고분군(사적 제460호)에서 백제 세공기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금제 귀고리와 구슬목걸이가 또다시 출토됐다. 수촌리 고분군에 대한 8차 조사를 벌인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백제의 돌덧널무덤(석곽묘) 3기, 널무덤(토광묘) 3기 등 모두 15기의 유구를 조사했다”면서 “이중 정상부와 가까운 19호 널무덤 내부에서 백제 세공기술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금제 귀고리 1쌍과 목걸이로 추정되는 다량의 구슬이 출토됐다”고 2일 밝혔다.

 

[경향신문]

공주 수촌리 고분에서 확인된 금제 귀고리. 가느다란 금사를 15번 정도 감아 연결한 것이다.|충남역사문화연구원 제공

공주 수촌리 고분에서 확인된 금제 귀고리. 가느다란 금사를 15번 정도 감아 연결한 것이다.|충남역사문화연구원 제공

공주 수촌리 고분군(사적 제460호)에서 백제 세공기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금제 귀고리와 구슬목걸이가 또다시 출토됐다. 수촌리 고분군에 대한 8차 조사를 벌인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백제의 돌덧널무덤(석곽묘) 3기, 널무덤(토광묘) 3기 등 모두 15기의 유구를 조사했다”면서 “이중 정상부와 가까운 19호 널무덤 내부에서 백제 세공기술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금제 귀고리 1쌍과 목걸이로 추정되는 다량의 구슬이 출토됐다”고 2일 밝혔다.

금제 귀고리는 가느다란 금사를 약 15번 정도 감아 연결한 후 맨 아래에 장식을 한 모양으로, 2011년 8호 돌덧널무덤에서 출토된 금제 귀걸이와 유사한 형태이다.

목걸이로 추정되는 다량의 구슬. 수촌리는 2003년 당시 청동기 시대 고분 1기와 백제시대 고분 5기가 확인된 곳이다. 이곳에서는 금동신발  3점과 금동관모 2점 등 최상급 유물들이 쏟아졌다.|충남역사문화연구원 제공

목걸이로 추정되는 다량의 구슬. 수촌리는 2003년 당시 청동기 시대 고분 1기와 백제시대 고분 5기가 확인된 곳이다. 이곳에서는 금동신발 3점과 금동관모 2점 등 최상급 유물들이 쏟아졌다.|충남역사문화연구원 제공

이창호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책임조사원은 “이번에 확인된 고분과 유물 등을 볼 때 기존에 발굴조사된 공주 수촌리 고분군 조영 세력들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이라면서 “특히 금제 귀걸이의 경우 기존에 출토된 예가 많지 않아 백제 시대 금속공예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수촌리는 지난 2003년 무령왕릉 이후 최대의 백제 무덤 발굴 성과가 있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1기의 청동기 시대 무덤에서 한국형 세형동검을 비롯한 청동제 유물들과, 5기의 백제무덤에서 금동신발 3점, 금동관모 및 허리띠 각 2점 등 온갖 금동유물과 중국제 도·자기 등 최상급 유물들이 쏟아졌다.

특히 한 마을에 집중된 이 무덤들은 기원전 4세기 청동기시대부터 마한에 이어 5세기 중반 백제까지 이어지는 한 뼈대있는 가문의 가족묘임이 분명했다. 아마도 이 집안은 예전에는 마한의 지배세력이었다가 백제 영역에 편입된 후에는 백제 중앙이 내린 각종 위세품(금동관모·금동신발 등)을 받고 이 지역을 간접적으로 다스린 가문이었을 것이다. 확인된 백제고분들은 기원후 4세기말~5세기초로 편년되는데, 기원후 392년 광개토대왕의 남침 등 고구려의 남하에 대항하기 위해 내부결속을 다지려고 지방세력에게 하사한 위세품일 가능성이 있다.

 

이기환 선임기자 lkh@kyunghyang.com

 

 

0
작성자 서명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자비가 부족하고,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김구)
▼
글쓰기   답글
목록 수정 삭제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신고하기

전체글 24
# 제목 이름 조회수 날짜
4 최초보고! 백제의 마지막 공주 부여태비
한류멋쟁이
1318 19-11-18
3 티베트 역사 - 티베트 독립운동? 티베트는 중국의 자치구 아닌가요? [동글동글 세계사]
한류멋쟁이
1403 19-11-08
2 [중국] 소수민족 신장 위구르족이 중국인 될 수 없는 이유 / #1 중국 신장 위구르자치구편
한류멋쟁이
1291 19-11-08
1 한국의 역사를 일본 중국은 어떻게 배울까
운영자1
1199 19-10-15
글쓰기
끝!
◀이전 1 2 다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용규칙
  • 버그신고
  • 공지
  • 한스타일 - 더 나은 한류, 행복한 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