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구진도 관심 갖는 금성 왜?[우주이야기] | |
![]() |
- IBS, 금성 대기 관찰 프로젝트 출범- 기후변화, 외계행성 측면서 연구 가치 커져- NASA·ESA 탐사선 발사 추진, 민간중심 저예산 미션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리나라 연구진들이 최근 국제공동연구로 비밀을 풀겠다고 나서 주목받는 행성이 있습니다.
바로 ‘금성’입니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이연주 기후·지구과학 연구단 행성대기 그룹 CI 연구팀은 금성 대기 관측을 위한 국제 금성 관측 캠페인을 기획하고, 지상 관측에 참여할 국제 연구팀을 모집한다고 밝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금성은 지구와 크기, 질량이 비슷하지만 표면 온도가 높다.
(사진=미국항공우주국) 미국, 유럽 등 금성 탐사 계획전 세계적으로 달, 화성 탐사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왜 금성일까요? 그 이유는 금성이 지구와 크기 질량이 비슷한 ‘쌍둥이 행성’이라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찾기 위한 ‘외계행성(태양계 밖 행성)’ 연구 측면에서도 금성의 가치가 새삼...
* 출처: 이데일리 2023-07-02
0
댓글 0
새 댓글 확인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